잘못된 내용이 있어서 수정합니다.
하나은행 Gmarket 플러티넘 카드 = 해외 캐쉬백 기능 없음/ 해외 체크 카드 기능 없음
하나은행 고객센터와 지점, 본사 간의 서로 상이한 답변으로 혼동이 있었습니다.
: 오늘 하나은행 내방 후, 본사 담당자 상담 후 확인된 사항입니다.
잘못된 정보를 올려 드려 죄송해요~**
국제 현금카드 #2 편에서 다시 정리하겠습니다.
----------------------------------------------------
[국제 현금 카드/체크카드 만들기]
해외 여행을 계획 할때 또 다른 고민은 바로 " 돈" 이다.
보통 신혼 여행 같은 편안하고 럭셔리한 여행을 제외하고는 " 어떻게 하면 비용을 줄일 수 있을까 " 라는 고민은 누구든 하게 된다.
배낭 여행시, 혹은 해외 단기 체류 시에 숙소를 예약하거나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국내에서와 마찬가지로 현금을 인출하여 지불하거나 체크카드(현금/직불카드) , 혹은 신용카드로 결재한다.
(혹은 여행자 수표 환전<--요건 불편해서 비추합니다.)
잘사는 나라에 가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의 사용이 자유로우나, 동남아/아프리카/남미 등의 여행시엔 현금이 보다 유리하다.
현금 카드의 종류에 따라서 수수료 비용을 줄일 수 도 있다.
비록 천원의 차이 일지라도 장기 여행에서는 모으면 이틀치 숙박비정도가 절약된다.
" 모든 신용카드 /체크카드는 수수료가 발생합니다(결재금액의 약 2%정도).
환율 우대를 받아서 환전한 현금을 가지고 출국해서 사용하는것이 금전적으로는 가장 이익입니다.
그리고 카드회사의 브랜드료(로열티), 환가료, 환율등 숨은 수수료의 원리를 알고 여러 가지를 비교하면 좋겠하지만
일반인이 그렇게 하기 무리가 있습니다.
그럼 신용카드를 제외하고 쉽게 해외로 가지고 갈 수 있는 체크카드/현금카드를 비교해 봅니다 "
그럼 해외에서 사용이 가능한 [국제 현금카드/ 체크카드] 에 대해서 알아보자.
해외에서는 장기 숙소 예약 , 비행기 예약등 고가의 결재를 제외하고는 현금을 가장 많이 쓰게된다.
따라서 현금을 항상 지참하고 있어야하는데 분실의 위험으로 50만원 이상 가지고 다니기엔 부담된다.
그래서 해외에서도 지역 ATM기를 통해서 자유로운 출금과 상점에서의 결제가 가능한 국제현금카드/체크카드의 사용을 권장한다.
예를 들어서 비상금 20만원 (200$) 정도의 현금을 항상 지참하고, 돈이 필요하다면 ATM기에서 찾아서 쓰면 된다.
국내의 대표적인 국제 현금 카드/ 체크카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보통 해외 여행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1) 시티은행-국제현금카드
2) 외환은행-국제현금카드
3) 국민은행-마이큐 카드
4) 하나은행-비바 카드
에 더하여
제가 추천하는
5) 신한은행-글로벌 패스 check & debit
를 비교해 봅니다.
체크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1) ATM 기에서 출금시 건당 수수료
- 한번 돈을 찾는데 드는 수수료 (2~3$ /건)
2) Conversion fee
- 환전 수수료, 보통 1)의 수수료와 함께 붙는다. (보통 인출금액의 1%)
3) 물품 결재 수수료
- 상점에서 카드 결재시 수수료 이것도 결재 금액의 %로 지불됨
4) 제휴 카드사
- Visa & Plus 계열 (전세계 약 40만개 ATM 기)
- Master/Maestro & Cirrus 계열로 (전제계 약 100만개의 ATM 기)
5) 캐쉬백 기능
- 3) 결재시에 결재금에 대한 % 캐쉬백기능
예) 1% 캐쉬백이라면 10만원의 상품을 결재하면 다음달 특정일에 1천원이 환급된다.
그럼 위의 6개의 카드를 비교해 보자.
은행 명 |
신한은행 |
하나은행 |
국민은행 |
씨티은행 |
외환은행 | |
카드명 |
글로벌 패스 |
비바 카드 |
G market |
마이큐 카드 |
국제 현금카드 |
국제 현금카드 |
출금 건당 수수료 |
USD 2$ |
USD 3$ |
USD 3$ |
USD 2$ |
30개국 시티은행 |
출금 액수별 |
Conversion fee |
1% |
1% |
1% |
1% |
Visa network : 0.85% |
1% |
잔액조회 비용 |
없음 |
없음 |
없음 |
USD 0.5$ |
없음 |
없음 |
물품 결재 수수료 |
1% |
1% |
1% |
USD 0.5$ + 1% |
물품 결재 기능 없음 |
물품 결재 기능 없음 |
출금한도 |
5,000$/일 |
1,000$/일 |
1,000$/일 |
없음 |
5,000$/일 |
5,000$/일 |
제휴 카드사 |
Master/ |
Visa/ |
Visa/ |
Master/ |
Visa/ |
Visa/ |
국내사용 캐쉬백 |
없음 |
0.30% |
1% |
없음 |
없음 |
없음 |
해외사용 캐쉬백 |
없음 |
없음 |
1% |
없음 |
없음 |
없음 |
기타 특징 |
한사람 명의로 |
환전이익 |
캐쉬백 기능 |
딱히 없음 |
30개국 시티은행ATM 모든 수수료 면제/ 4월부터 출금수수료 1$ 징수 예정임 |
24시 무휴/ |
1) 신한 글로벌 패스와 국민 마이큐카드가 타 카드 보다 수수료 측면에서 우수함
두 카드는 모든 조건이 동일하지만 마이큐 카드는 물품 결재시와 잔액조회 시 수수료가 더 붙는다. (마이큐~패스)
2) 시티은행 국제현금카드는 세계 30여 개국의 시티은행 ATM에서 모든 수수료는 없고, 미국/중국에서의 수수료는 저렴하지만
기타 타국에서의 수수료는 다른 카드에 비해 많은편임. (해당 30개국이나 미국,중국 여행객들에게 권장함)
해당 30개국은 다음과 같다
괌, 그리스, 독일, 말레이지아, 멕시코, 미국, 바레인, 베네수엘라, 브라질, 브루나이, 스리랑카, 싱가포르, 영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타이완, 타일랜드, 터키, 폴란드, 푸에르토리코, 필리핀, 홍콩, 이집트, 콜럼비아, 바하마, 체코, 러시아, 헝가리등 | |||||
3) 외환은핸 국제 현금카드의 장점은 연중 24시 사용 가능에 있다. 다른 조건은 신한 글로벌 패스에 못미친다.
타 현금카드는 해당은행의 서버 점검으로 인해서 사용 할 수 없는 시간대가 있다. 보통 한국 기준 새벽 때지만
해외에서는 낮시간때일 경우가 많다.(꼭 미리 알아보고 출국하자)
4) 시티은행과 외환은행의 국제 현금카드는 상점에서의 바로 결재 가능한 체크카드로의 기능이 없다.(무조건 ATM 출금용)
5) 하나은행 비바 카드 한때 유행한 카드이나 지금에 와서는 수수료 측면에서 측 이익이 없고 환전시에 우대 받는다.
6) VISA/PLUS 계열이냐 MASTER/MAESTRO/CIRRUS 계열이냐가 중요하다
ATM은 MATER 계열이 약 100만개, VISA 계열이 40만개 이므로 마스터계열이 유리하지만
대륙별,나라별 밀집 분포가 다르기에 특정 국가 방문시엔 미리 ATM 위치를 확인해도 좋을 것이다.
- VISA 계열ATM 위치 확인 :
로고가 있는 ATM기
http://visa.via.infonow.net/locator/global/jsp/SearchPage.jsp
- Master 계열 ATM 위치 확인 :
http://www.mastercard.com/us/personal/en/cardholderservices/atmlocations/index.html
7) 하나은행 G market 플래티넘 플러스 카드
내가 찾은 보물 카드 이다.
원래 가지고 있던 카드지만 초고성능 캐쉬백기능이 포함된지는 몰랐다.
해외 ATM 출금도 가능하고 상점 결재도 가능하니 멋지다~!
국내사용 시 캐쉬백 가능한 체크카드는 많지만 해외까지 가능한 카드는 드물다. 그리고 그 요율이 막강한 1% 를 자랑한다.
다르게 해석하면 해외에서 10만원짜리 물품을 결재를 가정하자.
결재 결재금액 대비 수수료 1%인 1000원이 물품비용에 추가로 지불하지만 다음달에 또 1%인 1천원이 캐쉬백 된다.
결국 수수료 1% 가 서로 상쇄 되는 현존하는 지상 최강의 카드가 탄생된다.
하지만 ATM 출금시 수수료가 3$ 이므로 신한 글로벌 패스에 뒤진다.
그래서 난 선택했다 (이미 여기까지 보신 분들은 답이 나왔다)
1) 신한 글로벌 패스 check & Debit 2장: 라이프형과 레져형, 분실 우려로 각각 발급
- 참고 : 신한은 한 명의에 같은 카드 2개는 발급되지 않아요~다른 종류는 5개 까지 가능함.
신한 글로벌 패스카드는 라이프형 레져형을 다른 카드로 익식함.
2) 하나은행 G market 플래티넘 플러스 카드 1장.
-------------------------------------------------------------------------------------------------------------
이렇게 3장의 카드를 가지고 물품 구입시엔 G market 플래티넘 플러스 카드를 ,
현금 인출시엔 신한 글로벌 패스를 이용하면 최상의 조합이 탄생한다.
비록 수수료는 1천원 정도 차이지만...그래도 아낄 수 있다. ^O^
그리고 각각 VISA와 MASTER 계열을 모두 보유하게 됨에 따라 사용이 더욱 용이해진다.
현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각 계좌간 자금 보유 비율은 신한 : 하나 = 2 : 1 가 적당 할 것이다.
(필요시엔 인터넷 뱅킹을 해야하니 미리 신청하고 집에서 실험해보고 출국권장함)
될 수있음 분실 도난 우려로 여러 카드를 가져가면 좋지만 계좌간 이동이 번거럽기에 2~3가지 은행이면 될것이다.
굳이 추가 하자면 국민은행 마이큐 카드를 권장한다.
또 같은 현금 카드를 여러개 발급 가능할지도 모르니 신청시에 꼭 상담원에게 문의 한다.
(지상 최고의 카드 조합 ㅋㅋㅋ)
'세계일주 준비기 > 세계일주 준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일주 경로 짜기 - 시작 (0) | 2008.03.25 |
---|---|
캠코더 사기 (0) | 2008.03.20 |
여권 사증 추가 (0) | 2008.03.11 |
카메라 사기 (0) | 2008.03.11 |
세계여행 품에 안기. (0) | 2008.03.10 |